유의확률(P-value)란? 이전에 주어진 유의수준을 갖는 기각역을 구하는 방법을 알아보았다. 표본으로부터 계산된 Z의 값으로부터 그 값이 기각역에 포함되면 H0를 기각하고, 그렇지 않으면 H0를 기각하지 않는다. 예를 들어) 유의수준 5%를 갖는 기각역으로 R:Z≤−1.645를 구하였다고 하자.표본으로부터 Z를 계산하여 z=-1.95로 얻었다면 H0를 기각할 수 있고, z=-1.42를 얻었다면 H0를 기각할 수 없다. 이 수치는 기각의 여부 뿐 아니라 얼마나 확실하게 기각할 수 있는가를 판단할 수도 있다.예를 들어 z=-2.22로 얻어졌다면, α를 0.05에서 0.025로 줄여도 (R:Z≤−1.645 ->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