Loading [MathJax]/jax/output/CommonHTML/jax.js
반응형

기각역 2

[기초통계] 유의확률이란? P-value란?

유의확률(P-value)란? 이전에 주어진 유의수준을 갖는 기각역을 구하는 방법을 알아보았다. 표본으로부터 계산된 Z의 값으로부터 그 값이 기각역에 포함되면 H0를 기각하고, 그렇지 않으면 H0를 기각하지 않는다. 예를 들어) 유의수준 5%를 갖는 기각역으로 R:Z1.645를 구하였다고 하자.표본으로부터 Z를 계산하여 z=-1.95로 얻었다면 H0를 기각할 수 있고, z=-1.42를 얻었다면 H0를 기각할 수 없다. 이 수치는 기각의 여부 뿐 아니라 얼마나 확실하게 기각할 수 있는가를 판단할 수도 있다.예를 들어 z=-2.22로 얻어졌다면, α를 0.05에서 0.025로 줄여도 (R:Z1.645 ->..

AI/기초통계 2019.11.22

[기초통계] 기각역이란? :: 제 1종오류와 제 2종오류의 관계 :: 단측검정, 양측검정

앞 서 가설검정과 가설검정시 범할 수 있는 오류에 대해 알아보았다.이번에는 귀무가설을 기각하는 구간인 기각역에 대해 알아보겠다. 기각역이란? 우리는 모집단의 일부분인 표본으로부터 검정의 결론, 즉, H0을 기각하거나, H0을 기각하지 않고 유지하는 결정을 내리게 되는데, 이 때 이용되는 표본의 함수, 즉 통계량을 검정통계량이라 한다.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춰주기 위해 개발한 신약이 효과가 있는지 없는지 검정하는 예시에서 약 복용 후 실험자들의 콜레스테롤 수치의 평균 ˉX가 검정통계량이 된다. 약을 복용 전 콜레스테롤 수치의 평균이 200이라 하자. H0 : 신약이 효과가 없다. : μ=200H1 : 신약이 효과가 있다. : \..

AI/기초통계 2019.11.21
1
반응형